건물 내 공조시스템과 소방시스템의 연동에 대해 생각해보자.
각각의 시스템을 자동제어하는 판넬이 있다고 하고, 그 둘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공조시스템 HVAC system 을 담당하는 공조자동제어판넬 HVAC control panel
소방시스템 fire fighting system 를 담당하는 소방판넬 fire control panel
일단 우리는 소방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가스감지기 gas detector, 연기감지기 smoke detector, 화재감지기 fire detector 에 의해 살수 소화 장치 (스프링쿨러 sprinkler system) 가 동작할 수도 있고, 가스 소화 장치 (FM200, CO2, inergen gas, etc.) 가 동작할 수도 있다.
만약 건물 내 불이 발생했을 때 HVAC system은 어떻게 동작해야할까?
일단 가장 기본적인 것은 차단 및 정지 shutdown 를 생각할 수 있다. 가스나 연기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그 방과 관련된 통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fire damper, smoke damper, combined fire and smoke damper or motorized fire and smoke damper, motorized gas damper, etc.
또한, 전체 공조장치의 정지를 생각할 수도 있다.
이 때, 우리는 소방판넬로부터 불이 났다는 신호를 공조판넬이 받아서 작동해야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럼 그 신호는 하나로 받느냐? 각각으로 받느냐? 몇 개를 받느냐?
방화구역이 정해져 있다면 구역별로 구분이 되어야 한다. detector가 fire, smoke, gas 의 3종류가 있고 동작하는 방식이 틀리다면 각각 받아야 한다. 특수한 방에 가스계 소화장치가 동작한다고 하면 알람이 울리고 사람들이 탈출하고 가스가 터지기 전, 그리고 터지고 난 뒤의 동작에 대해서도 신호가 고려되어야 한다. 방 하나하나에 대해 신호를 받을지 구역별 혹은 건물 전체적으로 받을지도 생각해야한다.
이 밖에도 플랜트에서는 (ASHRAE, NFPA code 를 참조할 것) 건물 밖에서 들어오는 공기 관련 H2 gas, toxic gas, combustible gas 등을 감지할 때 외부로부터 연결된 통로를 차단하는 운전 방식이 있다.
이럴 때는 건물 내로 유입되는 덕트 intake air duct 와 건물 밖으로 배출되는 덕트 exhaust duct 쪽을 차단하게 되고 공조시스템은 건물 내부만 순환되도록 운전한다. recirculation system
자. 우리는 여러가지 상황을 토대로 소방판넬로부터 공조판넬이 어떤 신호를 받아서 동작해야하는지 대략 감을 잡았다.
그러면 공조판넬은 소방판넬한테 어떤 신호를 보내야 할까?
일단 공조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동작 및 상태 신호, 관련된 댐퍼 damper 가 열렸는지 닫혔는지 혹은 실패 fault 했는지에 대한 모든 신호, 순환공조상태 recirculation mode 인지 정지상태 shutdown mode 인지에 대한 신호, 소방훈련에 따른 가상테스트 동작 관련 feedback 신호 혹은 무시하는 신호, 불이 꺼지고 난 다음 연기배출시스템 smoke purging system 또는 가스배출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신호 등등이다.
그리고 HCP와 LFCP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을 때 normal close (NC) or normal open (NO) 상태로 프로그램을 짜야하는지도 고려해야한다.
일반적으로 detector 에 의한 신호를 소방판넬로부터 공조판넬이 받는 경우 NC 로 받는다.
즉, 소방시스템이 문제가 없다고 확인되어야 공조시스템을 돌릴 수 있다.
반대로 공조시스템이 안되더라도 소방시스템은 살아야 한다.
장비 보호 및 제어시스템을 위해서는 interlock 을 고려해야한다.
'3.HVAC Control System >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is HLH and Humidifier control? (0) | 2013.02.25 |
---|---|
What is PDIS and PDS? (0) | 2013.02.25 |